'찾동'으로 고시원 찾아 나서고 중장년에 '전화 심리상담'...자치구 수준 조례 마련도 잇따라

▲ 지난 7월 도봉구 주민센터 관계자가 지원 대상 1인가구 당사자에게 간식을 전달하고 있다(사진=도봉구) © 팝콘뉴스

(팝콘뉴스=권현정 기자) 여성가족부 실태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전체 가구 중 1인가구는 30.4%로 집계됐다. 1인가구의 비중은 지난 2010년 전체 15.8%, 2015년 21.3%로 꾸준히 증가해온 바 있다.

특히, 코로나19 발 사회활동 중단 등으로 1인가구의 관계 단절과 이로 인한 우울감 심화 등이 문제로 제기되면서, 지자체마다 관내 1인가구 지원책 마련에 나서는 모습이다.

■ 지원 사각지대 찾아 나서고, 조례 마련하고

최근 도봉구는 그간 '찾아가는 동주민센터(찾동)'를 통해 임대주택 거주자, 차상위대상자 등을 대상으로 진행해온 1인가구 지원 사업을 고시원 주거 가구까지 확대했다.

2020년 기준 1인가구의 15.5%는 '비주택 거처'에 거주하고 있다. 비주택 거주민의 41.0%는 고시원 및 고시텔에 거주한다는 2017년 통계청 자료를 기준 삼으면, 어림잡아 1인가구의 약 6.3%가 고시원 및 고시텔에 거주하고 있는 셈이다.

도봉구는 해당 사업을 통해 고시원 소재 주민센터와 함께 대상자들에 대해 ▲개인별 욕구조사 ▲정신건강 실태 파악 ▲스트레스 관리 ▲여가 탐색 ▲복지서비스 연계 ▲식사 지원 등에 나설 방침이다.

지난 2016년 서울시가 '사회적 가족도시 구현을 위한 1인가구 지원 기본 조례'를 마련한 이래, 경기도, 전남, 대구 등 지자체가 연달아 나선 조례 제정 움직임에 자치구가 바통을 받는 모습도 눈에 띈다.

최근 중랑구는 구 의회를 통해 '1인가구 지원에 관한 조례'를 통과시켰다. "공동체 강화, 안전망 구축, 사회적 가족도시 구현"이 목적이다. 성동구, 송파구 등 자치구도 최근 1인가구 지원을 명시하는 조례 제정에 나설 방침이라고 밝힌 바 있다.

■ '생애주기별' 고민하고, 총괄 TF 따로 마련

서울시, 경기도 등은 조례에 기반해 '1인 가구 지원 계획'을 세우고 생애주기별 맞춤 서비스 개발 및 제공에 나서고 있다.

여가부 '2020 가족실태조사'에 따르면, 1인가구에게 필요한 정책으로 20대는 주택안정 지원을(20대 응답 중 81.4%), 70대는 돌봄서비스 지원을(70대 응답 중 34.4%) 꼽았다.

50대 이상은 '심리 정서·사회적 관계망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50대 9.9%, 60대 11.8%, 70세 이상 10.0%).

이에 경기도는 지난해 '1인가구 지원계획'을 발표하고, ▲외로움 및 고립 극복 ▲혼밥개선 소셜다이닝(밥상모임) ▲건강지원 ▲웰다잉(Well-dying) 지원 ▲홀로서기 지원 ▲안전 생활환경 조성 등 6개 주제에 대해 사업을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경기도는 청년 및 중장년 전용 커뮤니티 조성, 노인가구에 사물인터넷 이용 구조 시스템 구축, 중장년 가구 대상 전화 심리상담 서비스 '콜벗' 등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 2019년 '2019~2023년 1인가구 지원 기본계획'을 발표하고 운영 중이며, 최근 조례 개정 관련 토론회를 진행하는 등 지원책 개선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서울시는 올해 '1인가구 특별대책 TF'를 설치, 사업 방향 등을 조정에 나선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14일 여가부는 1인가구 사회관계망 지원을 포함한 보편적 가족서비스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이날 여가부는 내년 가족정책 예산을 올해 대비 19.8% 증가한 8859억 원으로 편성하고, 이 중 6억 원을 가족센터를 통한 1인가구 생애주기별 사회관계망 형성 지원 사업에 쓴다고 밝혔다.

올해 기준 전국 가족센터는 96개소로, 정부는 내년 12개소를 추가 설치, 해당 12개소를 통해 1인가구 지원 시범사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여가부에 따르면, 이르면 내년 초부터 개소당 26개 프로그램이 진행되고, 프로그램당 10~20명가량이 참여해, 약 3000명의 1인가구가 참가할 수 있을 전망이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