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못된 메시지 전달할 수 있어" 우려도

(팝콘뉴스=권현정 기자) 오는 20일 끝나는 현행 6인·11시 중심 사회적 거리두기 조처가 이후 대폭 완화하는 방향으로 조정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일각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자칫 심리 방역이 풀어지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을뿐더러, 확진자 40만 명 대에서 발생하는 위중증 환자 규모를 현재 의료 시스템으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평이다.

■ "중환자 중심 패스트트랙 필요해"

16일 김부겸 국무총리는 코로나19 중대본(중앙방역대책본부) 회의에서 "(거리두기 조정안은) 현재의 방역 상황을 정확히 분석해 각계의 의견을 들어 금요일(18일) 중대본에서 결정할 것"이라며"정부의 일관된 거리두기 조정원칙은 '방역과 민생'의 균형"이라고 덧붙였다. 사실상 민생 부담 완화를 위해 다중이용시설 거리두기 완화를 시사한 셈이라는 평이 나온다.

이날 손영래 중수본(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역시 중대본 정례브리핑을 통해 "(거리두기 조정안은) 아직 어떤 방향으로 결정될지 미리 말씀드리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금주 또는 늦어도 다음 주 정도가 이번 유행의 정점일 것"으로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오는 18일 발표되는 거리두기 조정안이 다중이용시설 이용 인원을 현행 6명에서 8명까지 늘리고 운영 시간 역시 1시간여 늘리는 방향으로 완화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미 16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가 40만 명 대를 넘어선 만큼, 거리두기 완화가 당장 의료체계 붕괴 등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면서도 의료체계 효율화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현행은 의료 인프라를 효율적으로 배분하기 위해 지난달부터 입원이 필요한 위중증 환자를 제외하면 재택치료·자가격리를 원칙으로 삼고 있다.

또, 지난 15일부터는 지난 2월 발표한 '의료기관 업무연속성계획'에 따라 음압병동이 아닌일반병동 일부를 코로나19 병동으로 쓰도록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효율적인 배분'만으로는 확진자와 함께 늘어나는 위중증 환자 및 사망자를 억제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이미 (심리 방역 등이) 풀어진 상황이고, 유행이 심각해진 상황이다. (거리두기를 완화하지 않더라도) 불 끄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보면서 "지금 중요한 것은 '중환자 패스트 트랙'"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코로나19 대응 체계는 입원이 필요한 위중증·준중증 환자 외에는 재택치료를 하도록 정하고 있다. 재택치료자 중 60세 이상 고령자, 면역저하자 등은 '고위험군'으로 분류되지만, 별도 유선 모니터링이 진행되는 것 외에 관리는 부족한 상황이다. 임산부 등이 고위험군에서 빠지면서 위험성이 지적된 일도 있다.

정 교수는 "중환자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라며 "고위험군을 대상으로 한 신속 검사·신속진단·신속치료 패스트 트랙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 "확진자 늘지 않도록 하는 게 근본적 방안"

거리두기 완화가 자칫 잘못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코로나19가 아직 확진자 기준 '정점'은 아닌 만큼, 아직 개인 방역에 신경 써야 하는 시기라고 설명한다.

지난 15일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SNS를 통해 "고위험군이 감염되면 우선 치료할 수는 없지만, 고위험군의 감염을 집중적으로 막을 수 있는 방역 정책은 없다"며 "고위험군의 감염을 치료하고 싶더라도 의료체계를 넘어서는 환자가 발생하면 사망자는 급증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16일 0시 기준 병상 가동률은 위중증병상 64.2%, 준중증병상 71.2%다. 3월 초인 지난 5일 병상 가동률은 56.4%, 61.4%로 준증과 준중증병상 가동률이 모두 10%p 가까이 늘었다.

고위험군 중심 의료체계를 별도로 마련한다고 해도, 일단 중요한 것은 확진자 수 억제라는 설명이다.

이 교수는 "정부는 의료체계 붕괴 직전의 상황을 국민에게 솔직하게 고백하고 국민이 개인적인 감염 예방 노력에 동참해주기를 호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팝콘뉴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