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병원 목록 발표했지만, 일부 병원 "진료 안 하거나 못 해"
"전화 자체 한계 있어...대안 찾아야" 목소리도

(팝콘뉴스=권현정 기자)정부가 오미크론 대응을 위해 동네 병·의원 중심의 재택치료 체계를 새롭게 도입했지만, 충분한 준비가 되지 않아 현장의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재택치료자 대상 전화를 통한 '비대면 진료 및 처방'의 경우 실효성이 의심되는데, 정부의 현황 파악 역시 일부 오류가 확인되고 있어 시민들의 우려가 커지는 상황이다.

■ "신청 안 했는데요?", "전화상담 힘들어요"...정부 현황 파악 '오류 투성이'

지난 10일 적용된 오미크론 대응 재택치료 체계는 재택치료자 중 15%에 해당하는 고령자, 기저질환자 등을 '집중관리군'으로 분류, 의료역량을 해당 대상자에 집중하는 것이 골자다.

이외 '일반관리군'은 정기 모니터링 없이, 이상 발생 시에만 동네 지정 병·의원에서 전화로 상담 및 처방받도록 하고 있다. 별도의 자가격리키트 등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지난 10일 일반관리군 전화 진료가 가능한 동네 병·의원 및 24시간 상담센터를 운영하는 의료기관 목록과 보호자 대리 처방 등이 가능한 지정 약국 목록을, 11일 대면 진료가 가능한 의료기관 목록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를 통해 차례로 공개했다.

이 중 비대면 진료 병원만 추리면, 10일 오후 6시 기준 전화상담 및 처방을 진행하는 동네 병·의원이 총 3717곳, 24시간 의료상담센터를 운영하는 병원이 총 208곳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11일 전화 진료 목록에 이름을 올린 전국 의료기관 몇 곳에 무작위로 전화를 걸자, 절반 정도의 의료기관에서 "현재는 하지 않고 있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대구시 소재 한 병원 관계자는 "다음 주쯤 시작할 것 같다. 이번 주는 전산 구축이 안 돼 아직 안 하고 있다"고 답했다. 서울시 관악구의 한 병원은 아예 운영할 계획이 없다고 설명했다.

경기 김포시에 있는 한 병원 관계자 역시 "(재택치료자가 아닌 환자 대상) 전화 상담은 하고 있는데, 확진자(재택진료자)를 관리하고 약 처방은 하지 않고 있다"라며 "신청한 병원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우리 병원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인력 부족으로보호자 대리처방만 일부 이행하고 있다는 목소리도 들을 수 있었다. 최근 코로나19 진단 수행부터 관련 전화상담까지 동네 병·의원 역할로 옮겨가면서, 업무 수행에 부담이 있다는 설명이다.

경기 고양시 소재의 한 병원 관계자는 "전화상담은 못 하고 있고, 재택치료자 가족분이 증상을 적어오시면, 처방을 해드리고 있다. 어제만 열 분 정도가 오셨다"라며 "(신속)항원검사가 몰려있어서 (전화상담 등) 다른 일까지는 못 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 "전화 진료 방식 한계 있어" 목소리도...전문가 "한 번은 의사 볼 수 있게 해야"

전화 진료 방식의 한계를 지적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의사가 전화로 환자 상태를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는데다,비대면 진료 수요는 점차 늘어날 텐데, 기존 인프라로는 수요 감당이 어렵다는 지적이다.

11일 중대본에 따르면, 10일 기준 신규로 치료방식이 배정된 확진자 중 재택치료자는 4만 2776명으로, 전체 배정의 94.5%로 집계됐다.

정기석 한림대 성심병원 교수는 "아무리 의사라고 해도 전화로 진료는 어렵다. 또, 전화하면 언제든 늦어도 30분에서 1시간이면 받는다는 보장이 있어야 하는데, 병원에서 (재택진료자 대상) 전화만 받는 것도 아니고, 전용선이 따로 있는 것도 아니지 않나. 전화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라고 짚었다.

오미크론 대응을 위해 동네 병·의원 중심 진료체계 전환이 어쩔 수 없다면, '최소한'의 조처는 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이다.

정 교수는 "(확진되면) 비상약도, 체온계 등 키트도 없이 격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어느 병원에 전화해야 하는지도 모를 수 있다"라며 "확진이 되면 대면이든, 혹은 화상통화나 전화 등 더 안전한 방식으로든 의사를 (환자가) 만날 수 있게 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