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력 규모로 장기화 대응 힘들어"
"적절한 휴식 시간, 전담 인력 육성 등 필요"

▲ (사진=경기도) © 팝콘뉴스

(팝콘뉴스=권현정 기자) 경기도 보건소 코로나19 대응 인력 10명 중 7명은 현재 보건소 인력 규모로 국내 코로나19 장기화 대응이 어렵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경기도는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유명순 교수 연구팀과 진행한 '경기도 코로나19 심리방역을 위한 인식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는 지난달 18일부터 26일까지 도내 보건소 인력 51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진행됐고, 신뢰수준은 95%,표본오차는±4.3%p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현재 보건소 인력 규모로 코로나19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보느냐는 질문에 '전혀 그렇지 않다' 또는 '그렇지 않다'라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 72.9%로 나타났다. '보통'은 18.2%, '(매우) 그렇다'는 8.9%로 집계됐다.

이 같은 응답의 배경에는 높은 스트레스와 미비한 심리방역 체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코로나19 업무와 그 이전 업무를 비교했을 때 객관적 업무량에 관해 응답자 86.8%는 '더 높다'라고 응답했다. 시간압박(84.5%), 시간 외 요소에 의한 압박(82.8%), 업무의 불확실성(83.6%) 등이 이전보다 높아졌다고 답한 응답자도 전체 80%를 넘었다.

PDI를 통한 스트레스 조사에서 응답자 중 재모니터링이 필요한 집단(7~28점)은 전체 48.5%로 집계됐다. 전체의 48.9%는 '즉각 도움이 필요한 고도의 스트레스 상태(28점 이상)'로 나타났다.2020년 5월과 7월 같은 조사에서 즉각 도움이 필요한 집단이 각각 19.5%, 20.1%로 나타난 데서 크게 오른 수치다.

PTED를 통한 울분장애 조사에서는 보건소 인력의 울분 점수(2.25점)가 경기도민(1.57점)보다 높았고, 특히, '심한 울분(2.5점 이상)' 비중이 응답자 중 37.7%로 경기도민(10.9%)보다 3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울분의 원인으로는 '악성민원'이 44.1%로 가장 높은 응답률을 보였고, '업무가중·인력부족·불합리한 업무 지시 및 업무 배분' 등이 20%로 다음으로 많은 응답률을 보였다.

반면, 대응 인력의 심리방역을 위한 대책은 부족하다는 평이다.

경기도가 지난해 4월부터 운영 중인 코로나19 대응 인력 심리지원 상담창구에 대한 질문에 응답자 48.9%는 '이용해본 적 없고, 추후 이용계획이 없다'고 답했다. 이용 경험이 없지만 이용할 것이라는 대답은 25.1%, 이용 의사가 있지만 망설여진다는 응답은 19.5%였다.

이용 경험이 있는 6.4% 중 '만족한다'고 응답한 비중은 18.2%에 그쳤다.

필요한 심리방역 체계 중 가장 불충분하게 제공되고 있는 요소로는 '스트레스나 번아웃(소진) 등 재난 심리 대응 및 지지(79.7%)', '초과 근무 등 업무에 대한 경제적 보상(75.4%)', '교대 인력 등 추가인력 지원(68.5%)', '식사 시간과 휴식 시간(60.9%)' 등이 꼽혔다.

또,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대응 인력 부담을 줄이기 위해 개선돼야 할 점을 업무영역·보상영역·기타영역으로 나눠 질문했을 때, 업무영역에서는 ▲순환근무 주기·부서 등의 체계 재정립(28.4%) ▲신체·정신 건강영향 대응안(24.6%) 등이, 보상영역에서는 ▲적절한 휴식시간 보장(34.4%) ▲추가근무에 대한 적정한 인센티브 체계(32.1%), 기타영역에서는 ▲감염병 전담 인력의 육성(40.2%) ▲법개정으로 감염병 대응인력 기준·보상 명시(29.4%) 등이 꼽혔다.

연구팀의 유명순 교수는 "(이번 조사를 통해) 2020년 조사 때와 달라지지 않은, 계속되는 문제점들이 드러났다"며 "현재의 오미크론 우세화의 고비를 넘기고 앞으로 닥칠 수 있는 감염병 위기를 대비하려면 보건의료 현장의 안전과 건강은 반드시 보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