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0년 신혼부부 118만 쌍 전년대비 6.1% 감소

▲ (사진=픽사베이) © 팝콘뉴스


(팝콘뉴스=정찬혁 기자)가정을 꾸리고 경제적 안정을 이루기가 점점 힘들어지고 있다. 신혼부부는 매년 줄고, 평균 자녀 수도 줄고 있다. 부부 소득은 늘었으나, 맞벌이로 인한 것이며, 금융권 대출이 대폭 증가해 신혼부터 빚만 늘어가는 실정이다.

■ 신혼부부·자녀 수 지속 감소, 소득 282만 원 늘어나는 동안 대출은 2050만 원 증가

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신혼부부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0년 11월 1일 기준 최근 5년 이내 혼인신고 후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신혼부부는 118만 4천 쌍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다. 2015년 147만 2천 쌍으로 집계된 신혼부부는 2016년 143만 7천 쌍(-2.4%), 2017년 138만 쌍(-4.0%), 2018년 132만 2천 쌍(-4.2%), 2019년 126만 쌍(-4.7%)으로 매년 감소했다.

초혼 신혼부부 중 자녀가 있는 부부의 비중은 55.5%로 전년(57.5%) 대비 2.0%p 하락했다. 평균 자녀 수는 0.68명이며, 아내가 경제활동을 하지 않는 부부(0.79명)가 활동 중인 부부(0.60명)보다, 주택을 소유한 부부(0.76명)가 무주택 부부(0.62명)보다 평균 자녀 수가 많아 경제적 요인이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 (사진=통계청) © 팝콘뉴스


초혼 신혼부부의 연간 평균 소득은 5989만 원으로 전년(5707만 원) 대비 4.9% 증가했다. 맞벌이 비중이 늘어나면서 평균 소득 증가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혼인연차별 맞벌이 비중은 1년 차가 58.5%로 가장 높고, 연차가 최근일수록 맞벌이 비중이 높았다. 2020년은 처음으로 모든 연차에서 맞벌이 부부의 비중이 외벌이보다 커졌다.

맞벌이가 늘고 소득도 증가했지만, 대출도 함께 늘었다. 초혼 신혼부부 중 2020년 11월 1일 기준 금융권 대출잔액이 있는 부부는 전체의 87.5%로 전년(85.8%)보다 1.7%p 상승했다. 금융권 대출을 받은 초혼 신혼부부의 대출잔액 중앙값은 1억 3258만 원으로 전년(1억 1208만 원)에 비해 18.3%나 증가했다. 소득이 282만 원 증가하는 동안 빚은 2050만 원 늘어난 셈이다.

초혼 신혼부부 중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42.1%로 전년 대비 0.8%p 하락했다. 혼인 1년 차의 주택 소유 비중은 29.7%이고, 5년 차에는 52.8%로 연차가 높을수록 주택소유 비중이 높아졌다.

차진숙 통계청 행정통계과장은 "신혼부부와 자녀 수 감소는 쭉 이어져 온 사회 현상"이라며 "결혼에 대한 가치관 변화, 경제적 사유,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결혼 연기 등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고 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 (사진=통계청) © 팝콘뉴스


■ 낮은 출산율, 급격한 인구감소로 이어져

결혼과 출산이 줄어들면서 장래인구 역시 급격하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지난해 우리나라는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많은 '데드 크로스' 현상이 발생했다.

통계청은 9일 '장래인구추계:2020~2070년'을 통해 "총인구는 2020년 5184만 명에서 향후 10년간은 연평균 6만 명 내외로 감소해 2030년 5120만 명 수준으로 감소하고, 2070년에 3766만 명(1979년 수준)에 이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2020년부터 향후 10년간 생산연령인구는 357만 명 감소하고 고령인구는 490만 명 증가한다는 분석이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인구는 2020년 38.7명(노년 21.8명)에서 계속 높아져 2070년 116.8명(노년 100.6명)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출생아 수는 2020년 27만 명에서 2023년 23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고, 2070년에는 20만 명까지 감소할 전망이다. 사망자 수는 2020년 31만 명에서 증가, 2030년에 40만 명을 넘어서고, 2070년에는 70만 명으로 2020년에 비해 2.3배 많아질 전망이다.

여기에 코로나19 여파까지 오래 지속되면 인구절벽 사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페이스북에 "지난 2년간 우리 경제·사회를 뒤흔든 코로나로 인한 국제 순이동 감소, 혼인·출산 결정 지연 등 충격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으로 보인다"라며 "향후 코로나에서 벗어나 일상을 회복하게 되면 외국인 국내유입, 혼인·출산 등이 정상화되면서 인구 변화 흐름이 개선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이어 홍 부총리는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 아동수당법 개정 등 핵심정책 제도화를 기반으로 내년부터는 저출산 대응 신규사업을 본격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그간 성과가 미진했던 인구정책과 관련해 거버넌스 재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지난 1일 열린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인구변화의 구조적 위험과 대응 전략' 토론회에서 강동수 KDI 연구위원은 "기재부 중심의 범정부 인구정책 TF는 국민적 공감대에 기반한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강 연구위원은 "고령사회 이행과정에 직면하는 다양한 이해 갈등을 조정하고, 정부부처 간에도 목표추진과 예산집행 과정에 이견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조율할 인구정책 거버넌스를 재편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