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지난해 주거실태조사 발표, “수도권 주거 부담 개선에 노력”


(팝콘뉴스=최한민 기자) 지난해 도입된 신혼부부ㆍ청년 주거지원 방안에 의해 주거 안정성은 보다 향상됐지만 수도권 중심으로 여전히 내 집 마련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17일 지난해 6월에서 12월 표본 6만 가구를 대상으로 실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국민들의 주거 수준 전반적인 개선이 있었다고 밝혔다.

먼저,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중은 2017년 5.9%에서 지난해 5.7%로 감소했으며 1인당 주거면적도 31.7㎡로 나타나 2017년 31.2㎡보다 소폭 증가했다.

주거안정은 청년과 신혼부부 계층에서 두드러졌는데 만 20세에서 34세의 청년 가구 75.9%가 세입자지만 전세는 같은 기간 28.9%에서 32%로 늘고 월세는 71.1%에서 68%로 줄었다.

지하ㆍ반지하ㆍ옥탑 거주 비중도 2017년 3.1%에서 지난해 2.4%로 감소하고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 비중도 같은 기간 10.5%에서 9.4%로 감소하는 등 주거여건이 전반적으로 개선됐다.

신혼부부도 내 집 마련 기회가 확대되면서 2017년 44.0%였던 자가점유율이 지난해 48.0%로 크게 증가하는 등 주거 안정성이 강화됐다.

반면 전반적인 주거수준의 질은 개선됐다고 볼 수 있지만 수도권 중심의 도시살이는 팍팍했다.

전국적인 주택시장 안정세로 전국 PIR(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은 2017년 5.6배에서 지난해 5.5배로 소폭 감소했으나 지난해 국지적 과열이 발생했던 수도권은 같은 기간 6.7배에서 6.9배로 소폭 상승했다.

임차가구 월 소득 가운데 월 임대료 비율도 전국 평균 15.5%로 2017년 17.0%에 비해 크게 하락한 반면 수도권에서는 18.6%로 타지역에 비해 높게 나타나 내 집 마련의 어려움을 반영했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수도권 주택시장의 안정세가 조사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지만 신혼부부와 청년 주거 지원 확대의 효과가 점차 나타나고 있다”며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시장 안정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해 나갈 계획”이고 전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집이 없는 실수요자들이 집을 살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도록 주택시장 안정세를 견고하게 다진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