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정상회담 상호존중의 자세 필요해

▲ 김영도 편집국장 ©팝콘뉴스

(팝콘뉴스=김영도 기자)오는 6월 12일 북미정상회담에 따라 한반도의 운명이 갈린다.

회담 성과에 따라 북한이 국제사회 일원으로 세계 평화에 기여할 것인지 외부 세계와 단절되고 고립된 폐쇄적인 사회로 남을 것인지 선택의 기로에 서게 됐다.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은 한반도의 긴장완화와 항구적인 평화를 넘어 미래 공동번영이라는 희망의 싹을 틔었다.

국제 사회는 분단 73년 만에 맞은 남북의 화해 분위기에 찬사를 보내고 평화를 함께 기원하며 동북아 평화공존의 시대를 알리는 시작점으로 기록했다.

북한의 전향적이고 파격적인 비핵화 선언과 더불어 남북의 전쟁을 종식하는 약속은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공으로 넘어갔다.

북한 김정은 위원장은 폼페이오 국무장관을 초청해 3명의 한국계 미국인 송환으로 이어지면서 북미정상회담에 앞서 국제적으로 남다른 호의를 보였고, 트럼프 대통령도 긍정적으로 북한에 대한 호감을 나타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려가 앞서는 것은 북미정상회담이 동북아 평화를 상징할 수 있는 한반도가 아닌 아무런 연관성 없는 싱가포르에서 개최하겠다고 하는 미국의 속내이다.

대부분의 정상회담은 회담에 앞서 양국의 실무진들이 사전협의를 통해 조율을 맞춰 놓고 정상들의 서명만 남겨놓는 것이 통상적 관례이지만, 원만한 협의가 이뤄지지 못했을 경우 회담 당일 실무협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정치적 부담감이 따른다.

미국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한을 두 번째 방문했지만 북한과 실무협의를 하지 않았거나 협의가 여의치 않아 미국이 한반도가 아닌 싱가포르를 선택한 것이라는 주장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이다.

이 같은 이면에는 북한에 대한 강경한 대북조치를 요구하고 있는 존 볼턴 국가안보보좌관이 과거 부시 행정부에서 실패한 대북외교 정책을 고스란히 트럼프 행정부에도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상호 존중을 우선해야 할 정상회담에서 패권주의적인 잣대를 들이대는 것은 결국 뜻이 좋아도 평화회담을 파투 내겠다는 의지로 읽혀질 수밖에 없다.

성공적인 북미정상회담을 위해서는 선의를 갖고 상대방에게 호의를 베풀어도 상대가 처한 환경이나 피드백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협상이 될 수도 있고 협박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결코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저작권자 © 팝콘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